목록전체 글 (43)
To Be myself
알고리즘알고리즘을 왜 배우는가?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면, 컴퓨터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생각하면서 지적 추상화 및 통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.기본 개념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/방법의 명령어 들을 단계적으로 나열 정의한 개 이상의 출력을 만들기 위해 (입출력), 컴퓨터에서 수행 가능한 (유효성) 단순하고 명확한 (명확성) 명령들의 유한한 단계(유한성)를 거쳐 종료해야 한다. + (효율성) 설계욕심쟁이 방법 (Greedy Method, 탐욕 알고리즘)각 단계에서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국부적인 최적의 해를 선택해나가면서 전체의 최적해를 찾는 전략간단하면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음최솟값/최댓값 구하는 최적화 문제 ► 거스름돈 문제동전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거스름돈을 돌려주..
구문론- 의미(의도)가 애매모호하지 않고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의미론- 언제나 의미가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한다. 기계어- 0과 1로 이루어진 2진수 언어로 컴퓨터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수준. 사람이 이해하거나 프로그램 작성이 어려워 범용성이 낮음 어셈블리어- 기계어의 명령어를 사람 언어와 유사한 알파벳 형태로 바꾼 언어. 기계어보단 읽기 쉽지만 논리 순서가 컴퓨터에 초점을 둠
중앙처리장치(CPU)- 제어장치, 산술논리연산장치(ALU), 레지스터로 구성- 처리장치 : ALU + fpwltmxj 제어신호: 데이터 처리 연산을 실행시키는 이진신호, 제어장치가 처리장치에 제공상태신호: 처리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비트로 연산의 순서 정함, 처리장치로부터 제어장치가 전송받음 기억장치주기억장치: 연산에 필요한 프로그램, 데이터, 중간 결과, 연산 결과 등 저장캐시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- 입력장치: 사용자의 입력 값을 컴퓨터 알 수 있는 형태로 변환- 출력장치: 연산 겨로가를 사람이 알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서 내보냄 시스템버스버스: 2개 이상의 장치를연결해주는 통신 선로시스템버스: 중앙처리장치, 기억장치, 입출력장치의 연결 및 데이터 통로 역할 - 주소버스 / 데이터 버스 / 제어버스..